본문 바로가기
상식

2025년 3월 1일부터 시행되는 대한민국 항공기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by 더에스티 2025. 3. 14.
반응형

항공 여행 시 리튬 배터리의 안전한 반입은 승객과 항공사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리튬 배터리는 고용량일수록 화재 위험이 증가하므로, 각국의 항공사와 국제 규정에 따라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기내 반입 시의 규정과 안전 관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며, 안전하고 원활한 여행을 위한 필수 정보를 제공합니다.

항공기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항공기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 보조배터리는 반드시 기내에 반입해야 하며, 위탁 수하물로 맡길 수 없음
  • 반입 가능한 개수 및 용량 제한:
    • 100Wh 이하: 최대 5개까지 반입 가능
    • 100Wh 초과 160Wh 이하: 항공사 승인 하에 최대 2개까지 반입 가능
    • 160Wh 초과: 기내 반입 금지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보조배터리 안전 관리 규정

  • 단자 보호: 금속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테이프로 커버하거나 보호 파우치, 비닐봉투 등에 보관
  • 보관 위치:
    • 기내 선반 보관 금지
    • 승객이 몸에 소지하거나 좌석 주머니에 보관해야 함
  • 사용 제한: 기내에서 보조배터리 충전 금지

보조배터리 용량에 대해  

배터리 용량 단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mAh (밀리암페어시)
    • 주로 소형 전자기기 배터리에 사용됩니다.
    • 배터리가 얼마나 오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지 나타냅니다.
    • 예: 스마트폰(3000mAh), 태블릿(8000mAh), 보조배터리(10000mAh)
  2. Ah (암페어시)
    • mAh보다 큰 용량의 배터리에 사용됩니다.
    • 1Ah = 1,000mAh
    • 예: 자동차 배터리(60Ah), 대용량 보조배터리(20Ah)
  3. Wh (와트시)
    • 실제 배터리의 에너지 용량을 나타냅니다.
    • Wh = (V × mAh) / 1000
    • 항공기 탑승 시 배터리 용량 제한 확인에 사용됩니다.
    • 예: 노트북 배터리(50Wh), 보조배터리(37Wh)
  4. kWh (킬로와트시)
    • 대용량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사용됩니다.
    • 1kWh = 1,000Wh
    • 예: 전기차 배터리(64kWh), 가정용 ESS(10kWh)

예시 계산:
배터리 정격용량이 DC 3.7V, 5000mAh인 경우:
Wh = (3.7V × 5000mAh) / 1000 = 18.5Wh

이러한 단위들은 배터리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됩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일반적으로 3.7V의 전압을 사용하며, 이를 기준으로 mAh와 Wh 간의 변환이 이루어집니다.

보조배터리 용량에 대해
보조배터리 용량에 대해

기내 반입 금지 물품 목록

  • 무기 및 위험물: 화기, 탄약, 철퇴, 페퍼 스프레이, 테이저 등
  • 리콜 대상 배터리 및 장치: 안전 문제로 리콜된 배터리 및 관련 장치
  • 대용량 액체류:
    • 100mL(3.4온즈) 이상의 액체, 젤, 에어로졸
    • 24도 이상의 주류(5L 초과)
  • 특정 전자기기: 배터리 분리 불가 스마트 백, 호버보드, 세그웨이, e-바이크 등
  • 캠핑 장비: 스토브, 연료, 연료 용기
  • 기타 위험물: 폭죽, 압축 가스 카트리지, 전기톱 등
  • 날카로운 물건: 가위, 커터, 면도기 등
  • 특정 스프레이 및 화학물질: 훈연식 살충제, 독성 물질 포함 스프레이

리튬 배터리 안전한 기내 반입 방법

용량 제한 준수

  • 100Wh 이하: 최대 5개 반입 가능
  • 100Wh 초과 160Wh 이하: 항공사 승인 하에 최대 2개 반입 가능
  • 160Wh 초과: 기내 반입 불가

안전한 포장 방법

  • 단자 보호: 절연 테이프 사용, 보호 케이스 보관
  • 개별 포장: 비닐팩 또는 보호 포장지 활용
  • 외부 포장: 튼튼한 케이스 사용

기내 반입 필수

  • 반드시 기내 반입, 위탁 수하물 불가
  • 손상된 배터리 반입 금지 (부풀거나 손상된 경우)
  • KC 인증 마크 확인 필수

사용 시 주의사항

  • 기내에서 과열 또는 이상 징후 발생 시 즉시 승무원에게 보고
  • 짧은 비행 시 사용 자제
  • 여행 전 이용 항공사의 최신 규정 확인

리튬 배터리 기내 반입 시 항공사 사전 승인 필요 이유

  • 안전 관리: 고용량 배터리(100Wh 초과 160Wh 이하)의 화재 위험 관리 필요
  • 용량 제한 준수: 항공사가 배터리 수량 및 용량을 사전 확인
  • 국제 규정 준수: 안전 기준을 준수하는지 확인
  • 화재 위험 관리: 리튬 배터리 화재는 진압이 어려워 사전 관리 필수
  • 승객 안전 보장: 기내 리튬 배터리 총량을 관리하여 위험 최소화

리튬 배터리 안전 포장 방법

개별 포장

  • 블리스터 팩, 판지 등 내부 포장재 활용
  • 비전도성 절연 물질(전기 테이프)로 단자 감싸기

합선 방지

  • 배터리 단자를 금속 물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
  • 개별 비닐 포장으로 합선 방지

외부 포장 및 라벨링

  • 충격에 강한 케이스 사용 및 고정
  • UN 표준 상자 또는 IATA DGR 규정을 준수한 포장 사용
  • UN 코드, 위험물 라벨 부착 및 관련 서류 준비

결론

리튬 배터리를 기내에 안전하게 반입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규정을 엄격히 준수해야 합니다. 반입 가능한 용량과 개수, 안전한 포장 방법, 그리고 승무원에게 이상 징후를 즉시 보고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화재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항공사마다 추가적인 규정이 있을 수 있으므로, 탑승 전 반드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주의사항을 지킴으로써, 안전하고 편안한 항공 여행을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녹색 버튼 파란색 버튼 빨간색 버튼 노란색 버튼